본문 바로가기
에너지

생활속 에너지 절약 -1

by 코코에코 2020. 8. 27.

지난번에 전기요금에 대해서 설명해 드렸는데요,

이번에는 전기요금 절감을 위한

생활속 에너지 절약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드리려고 합니다.

이미 잘 알고 계실텐데요,

오늘은 전자기기 를 대상으로

효율적인 사용으로 에너지를 절약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우선, 에너지소비효율등급표시제도 / 고효율에너지기자재인증제도 / 대기전력저감프로그램

효율관리 3대 프로그램 에 대한 이해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출처 : 한국에너지공단

  

에너지소비효율등급표시제도

 

에너지소비효율등급표시제도

소비자들이 효율이 높은 에너지절약형 제품을

 손쉽게 판단하여 구입할수 있도록

3가지 의무사항 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에너지소비효율등급(1~5등급)라벨 의무표시 /

의무적 신고 /

 최저소비효율기준적용

 

최저소비효율기준 미달제품은 생산.판매가 금지됩니다.

 

대상제품 에는

전기냉장고/김치냉장고/전기냉방기/전기세탁기/전기냉온수기/

전기밥솥/전기진공청소기/선풍기/공기청정기/백열전구/형광램프/

안정기내장형램프/삼상유도전동기/가정용가스보일러/어댑터/충전기/

전기냉난방기/상업용전기냉장고/가스온수기/변압기/창세트/텔레비전수상기/

전기온풍기/전기스토브/멀티전기히트펌프시스템/제습기/전기레인지/

셋톱박스/컨버터내장형LED램프/컴버터외장형LED램프

 

1등급에 가까운 제품일수록 에너지절약형 제품이며,

1등급 제품은 5등급 제품에 비해

30~40%의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고효율에너지기자재인증제도

 

에너지절약효과가 큰 설비,기기를 고효율기자재로 인증하여

고효율제품 기술개발 촉진과 보급확대를 위한 인증제도입니다.

임의적 인증 신청제도로 인증제품에 대해서는

인증서교부 및 고효율에너지기자재 마크가 표시됩니다.

 

대상제품

조명설비( LED유도등/문자간판용LED모듈/등기구/LED램프/스마트LED조명시스템)

단열설비(고기밀성단열문/냉방용창유리필름)

전력설비(무정전전원장치/인버터/펌프/원심식송풍기/터보압축기/

전력저장장치(ESS)/최대수요전력제어장치/전기자동차충전장치)

보일러 및 냉난방설비(산업.건물용가스보일러/스크류냉동기/직화흡수식냉온수기/

항온항습기/가스히트펌프/가스진공온수보일러/중온수흡수식냉동기)

 

대기전력저감프로그램

 

대기전력이란

컴퓨터,모니터등 전자제품이

실제로 사용되지 않는 대기상태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말합니다. 즉 전원을 끈 상태에서도 소모되는 전력입니다.

 

대기전력은

전원 오프시 소비전력뿐만 아니라

무부하모드, 리모컨 오프시 소비전력, 네트워크 통신중 대기전력,

동작중 대기상태소비전력 모두를 포함합니다.

 

정부에서는 대기전력 저감 우수제품 보급을 위해

대기전력저감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대기전력저감기준 미달제품 에는

대기전력경고표시 마크를 의무적으로 표시 해야 하고,

대기전력저감기준 만족제품은

 에너지절약 마크를 임의적으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대상제품

컴퓨터/모니터/프린터/팩시밀리/복사기/스캐너/복합기/

자동절전제어장치/오디오/DVD플레이어/전자레인지/도어폰/유무선전화기/

라디오카세트/비데/모뎀/홈게이트웨이/서버/손건조기/디지털컨버터/유무선공유기

 

출처 : 한국에너지공단

 

전자기기 에너지 절약 방법

 

TV

 

TV 는 열이 많이 발생하므로 벽에서 10cm이상 띄어서 배치합니다. /

셋톱박스 는 가전제품 중 대기전력 소모량이 매우 높습니다.

미사용시에는 전원을 꺼두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 사진은 서울에너지드림센터 내부에 있는 전시장 사진인데요,

가전제품별로 대기전력을 비교해 놓았습니다.

보시다시피 TV가 1.3W인 것에 비해 셋톱박스는 12.3W로

대기전력이 상당히 높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냉장고

 

냉장고는 가능한 에너지 효율이 높은 제품을 사용합니다.

효율1등급 제품은 5등급 제품에 비해 30~40% 의 전기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효율등급이 높더라도 제조일자에 따라 효율성이 떨어질수 있으므로

최신 제조일자, 고효율등급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냉장고는 직사광선을 피하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배치합니다.

 

냉장고는 가족수에 맞는 적정한 용량으로 구입합니다.

적정한 용량은 가족 1인당 40~50L 로

 4인 기준 160~200L가 적정합니다.

 

냉장고내 음식물 보관용량은 60% 정도가 적정합니다.

음식물을 10% 증가시키면 전력소비량이 3.6%가 증가합니다.

반대로 냉동실은 가득 채울수록

냉기가 잘 전달되고 보존되어 에너지 절감이 됩니다.

 

냉장고에 음식을 넣을 때는 반드시 식혀서 넣어야

전력 소모를 줄 일 수 있습니다.

 

냉장고의 적정온도를 설정합니다.

냉동실 온도를 -15~ -18도 ,

냉장실 온도를 3~4도로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세탁기

 

세탁기는 세탁량에 따라 소모전력량에는 큰 변화가 없으나

세탁기 용량에 70%를 초과하지 않는것이 좋습니다.

 

다음은 냉방기기 의 에너지 절약방법입니다.

무더위가 한창인 요즘

냉방기기의 올바른 사용방법이 가장 중요할 것 같습니다.

 

에어컨

 

에어컨을 사용할때는 실내온도를 26~28도로 유지합니다.

에어컨 실내온도를 1도 높이면 약 7%의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습니다.

선풍기와 함께 사용하면 더 효율적입니다.

 

에어컨필터는 주기적으로 청소를 해 줍니다.

에어컨필터를 청소해주면 약 5%의 효율을 올릴 수 있습니다.

보통 2주에 한번정도 청소를 해 줍니다.

 

에어컨은 무엇보다 실외기 관리가 중요합니다.

에어컨 소비전력의 90%를 실외기가,

 10%를 실내기가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에어컨 실외기는

 통풍이 잘 되는 장소에 설치하고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서 설치합니다.

주변에 장애물이 있을 경우

냉방 효과는 떨어지고 전력소비량이 증가하므로

주변에 장애물이 없도록 관리해야 합니다.

 

실외기는

직사광선을 피하고

만약 옥상에 설치등 직사광선에 노출된 경우에는

차광막을 설치 해 줍니다.

실외기 온도를 낮추면

 9%의 냉방비 절감 효과와

 과열로 인한 화재 예방효과 도 있습니다.

 

실외기의 먼지는

성능저하 및 온도상승의 원인이 되므로

 1년에 2회 주기적으로 청소 및 관리를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2대의 실외기는

 서로 이격시키거나  2단 앵글을 설치하여

실외기를 겹치지 않게 분리 배치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선풍기

 

선풍기는 가능한 강풍에 비해

30% 전력소비가 적은 미풍을 사용합니다.

,,약 조절에 따라 약 10W의 전력소모 차이가 있습니다. 

리모컨으로 제어하는 선풍기는

수동으로 제어할 때와 달리 대기전력이 발생합니다.

 

기타 전자기기

 

난방기, 인덕션 등 전기에너지를 열로 전환하는

모든 전자기기는 전력소모가 상당히 큽니다.

 

인덕션 기기는

에너지 효율이 매우 낮고

전기 요금 상승 요인이 됩니다.

또한, 소비전력이 상당히 높아서 다른 가전제품과 동시 사용시

과부하 발생 우려가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전기밥솥 도 에너지소비가 많은 가전제품 중 하나이므로

압력밥솥으로 대신 사용하는 것이 좋고

전기밥솥 사용시에는 장시간 보온기능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냉온수기

여름철 온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온수기능을 꺼두고

냉온수기 절전기능을 사용합니다.

타이머콘센트 설치하면

비사용 시간대에는 전원을 차단하여

 대기전력으로 인한 에너지 소모를 줄 일  수 있습니다.

 

비데

대기전력이 발생하므로

타이머콘센트를 설치하거나

보온기능 미사용시에는 꺼두는것이 좋습니다.

 

가전제품 중에는 대기전력이 발생하는 전자기기가 많습니다.

구입 할 때는 대기전력 차단 유무 표시를 확인한 후에

구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방법으로는

사용하지 않는 전기기기의 플러그를 뽑아두거나

 대기전력차단타이머, 절전형 멀티콘센트로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대기전력을 차단하면 전자기기 사용전력량의 약 8%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전자기기 대상으로

에너지 절약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 드렸는데요,

전자기기 사용에 있어서

에너지 절약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안전하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기 안전

 

잘 알고 있는 상식이지만

무심히 지나치는 경우가 많은데요,

전기는 물기가 있을 때에 더욱 잘 통하게 되므로

젖은 손으로는 전기기구를 만지지 말아야 합니다. /

꽂을때는 콘센트에 완전히 접속하고,

뽑을 때에는 플러그를 잡고 뽑아야 합니다

 

여러 전기기구를 문어발식으로 연결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 개의 콘센트에 많은 전기기구를 연결하여 쓰면

한꺼번에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되어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멀티콘센트는 구입시 표시되어 있는 허용용량을 확인하신 후에

쓰셔야 과부하 없이 안전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에어컨 등 소비전력이 높은 전자기기는

콘센트를 단독으로 사용해야

허용범위 이내가 되어 안전합니다.

 

누전차단기 이상유무 동작시험을 해야 합니다. / 

불량전기제품을 사용하면 누전이나 합선 등으로 인해

감전, 화재의 위험성이 높습니다. (전자 또는 KS 표)

 

일상생활속 가전제품은

익숙하지만 잘 모르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제대로 알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조금만 관심을 갖고

습관화하면

전기요금도 절감하고

에너지도 절약하면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생활속 에너지 절약

전자기기 편 을 설명해 드렸는데요,

다음 포스팅에는

조명, 설비 등 기타

에너지 절약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 해 드리겠습니다.

 

 

 

'에너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소포인트제  (0) 2020.12.01
서울시 승용차마일리지  (0) 2020.11.06
생활속 에너지 절약 -2  (0) 2020.08.31
한전 전기요금 이해하기  (0) 2020.08.20
서울시 에코마일리지  (0) 2020.08.04

댓글